본문 바로가기
비혼주의자의 육아 라이프

아기예방접종 시 주의사항

by 엄마 도토리 2023. 3. 31.
반응형

표준예방접종일정표-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예방접종 전 확인하고 가면 좋은 것들에 대해 포스팅해 볼게요.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둘 것

예방접종을  때는 아기의 발달과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접종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가능하면 소아과에서 접종하기를 권한다고 합니다. 소아과에서는 예방접종이나 치료 외에도 육아상담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아기를 키우며 궁금한 점이나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면 상담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인터넷이나 책에서 정보를 얻을 수도 있겠지만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점검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예방 접종 시 팁

예방접종기록표나, 육아수첩은 생각보다 분실하기가 쉽다고 합니다. 마지막 접종 후 사진으로 찍어 보관하면 혹시 분실하더라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수시로 찍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접종을 마친 후 다음 일정을 바로 달력에 표시해 두시면 급하게 확인하지 않아도 되니 좋더라고요.

 

 

예방접종  주의사항 

준비물은 육아수첩, 아기가 어리다면 손수건이나 기저귀 여분을 하나 정도는 챙기는 것이 좋고 가능하면 오전에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 당일은 목욕금지이기 때문에 전날이나 접종 전에 미리 씻기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은 며칠 늦어도 괜찮기 때문에 날씨가 좋지 않거나 아이의 몸 상태가 좋지 않다면 연기해도 괜찮습니다.

 

예방접종  주의사항

주사 맞은 부위는 만지지 않는 것이 좋고 3시간 정도는 아이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이틀 정도는 무리하게 놀게 하지 말고 쉬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  접종 부위가 붓는 것은 흔한 증상인데, 심하지 않으면 괜찮다고 해요. 발열, 심한 통증이나 부기 등에는 찬물 찜질을 하거나 진통제를 먹일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접종 시 미리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고열이 나거나 경련이 있을 때는 바로 병원을 가야 합니다.

 

 

 

육아수첩은 언제까지 보관해야 할까

육아서적에서는 최소 초등학교까지를 권하고, 서적에 따라서는 평생 보관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방문하는 나라에 따라서 예방접종기록을 확인할 때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요즘은 좀 다를 것 같긴 합니다. 다른 방법으로도 증명이 가능할  것 같으니까요. 여하튼 그만큼 중요하다는 이야기인 듯합니다. 아기가 커가며 중요성을 잊긴 하지만 꽤 오랜 간격으로 두고 맞는 접종도 있기 때문에 청소년 정도로 성장할 때까지는 잘 보이는 곳에 챙겨두는 것이 좋아요.

 

예방접종을 할 수 있는 병원

아기의 예방접종을 하기 위해 일부러 출산을 했던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추천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태어난 곳이 거주지와 가깝다면 상관없지만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일부러 힘들게 먼 곳을 방문할 필요는 없다고 해요. 어린아이를 데리고 먼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아기와 엄마 모두에게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합니다. 예방접종은 집에서 가까운 소아과로 가는 것이 좋고, 한 군데를 정해 단골로 만들어 아기의 건강 상태나 육아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점검받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접종시기를 놓쳤을 때

아기가 몸 상태가 좋지 않다거나 다른 사정 등으로 접종 시기를 놓칠 것 같거나 놓쳤다면 바로 병원에 전화해서 상의 후 일정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 질병에 걸리기 전이고, 아프지 않다면 접종이 늦는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되진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연기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합니다. 접종 종류에 따라 늦어지면 다시 시작해야 하는 것도 있고 시기를 맞춰야 하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빠른 시일 내에 방문이나 전화로 상담 후 접종 일정을 잡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 번  맞은 경우

가끔 예방접종을 맞았지만 소아과를 방문했다가 실수로 얼마 전에 맞은 예방주사를 또 맞는 경우가 드물지만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디프테리아와 파상풍 접종은 7 이전에 6 회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없다고 하고, 그 외 접종들은  맞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것이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견해라고 합니다. 하지만 가급적이면 정해진 횟수만큼만 맞는 것이 안심이 되겠죠?! *출처 삐뽀삐뽀 119 소아과 

 

접종할 때 나이

일반적으로 소아과에서 말하는 나이는 아기가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해서 만으로 이야기한다고 합니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나이는 전부 만으로 따진다고 해요. 

 

접종 날짜 체크 팁

소아과에 접종하러  때, 육아수첩을 꼭 챙겨가서 다음에  날짜(다음 접종날짜)를 적어달라고 하시면 좋습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병원에서 이야기하지 않아도 적어주시긴 하지만 혹시 모르니 접종이 끝난 후 다음 일정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시면 더 좋아요.

 

 

엄마 도토리 Says

보통 예방 접종 시기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주는데 접종 전후 주의사항 같은 것은 찾기 힘든 것 같아 정리해 봤습니다. 이제까지는 예방 접종의 종류나 왜 맞아야 하는지 어떤 효과가 있는지도 잘 모르고 그냥 맞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기회에 공부해보려고 해요. 그래야 혹시 모를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그럼 오늘의 육아도 수고하셨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