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병원에서출산하기2

대학병원에서 출산하기 대학병원에서 출산하기 출산 예정일을 두 달 정도 남겨두었을 때 본격적인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대로 대학병원에서 출산을 할 것 인지 일반 로컬 병원으로 전원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말이죠. 당시 제가 생각했던 장단점을 기재해 봅니다. 그리고 가장 궁금하실 의료비 정산도 아래에 있습니다. 대학병원 분만 시 장점 익숙한 환경과 익숙한 의료진들 사이에서 출산을 할 수 있다. 대학병원인만큼 의료사고가 적을 것 같다(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전원을 하기엔 심리적 부담감이 크다. 대학병원 분만 시 단점 담당 의사가 수술 중일 경우 다른 의사로 배정된다. 조리원으로 바로 연계가 힘들다. 준비물이 많다. 개인적인 코치(수유 등)가 힘들다. 타이밍이 나쁘면 온갖 의료진이 견학올 수 있다(대학병원의 경우 교육과 겹치면 이런.. 2023. 3. 5.
대학병원에서 산부인과 진료받기 NEXT LEVEL? 결혼을 했습니다. 저희 부부의 다음 단계는? 7년 만의 임신과 출산 임신과 출산이었습니다. 오래 걸린 편입니다. 저는 딩크족의 길을, 남편은 자식을 원했는데 결혼 전 합의되지 않은 사항이라 제 의견을 굽히고 아이를 갖기로 결정되었고 대신 남편은 제가 원할 때라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그 기간이 7년 정도 걸린 것인데 이 이유는 다음 기회에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주의사항 아래의 내용은 임신과 출산 관련한 산부인과 진료에 대한 정보임으로 일반 진료의 경우엔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대학병원에서 산부인과 진료받기 원한다고 무조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알려 드리자면 일반 산부인과에서 진료를 보고 위치가 위험하다거나 일반적인 임신이 아닐 경우 의사분께서 대학병원 진.. 2023. 3. 4.